1인미디어제작실습중급 (One person media production practice intermediate level) |
인터넷 1인 방송 미디어를 제작 실습한다. 유튜브, 아프리카TV 등 인터넷 방송은 10~20대에서 전 연령대로 확대되고 있다. 콘텐츠 제작 실습에 대한 학습 능력을 토대로 1인 방송 미디어를 직접 제작한다. |
ICT콘텐츠기획 (ICT Content Planning) |
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획 방법 등을 학습한다. 무엇을 제작할 것인지에 대한 아이템 설정부터 제작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를 이해하고 기획서 작성을 위한 자료 조사 방법 등을 탐구한다. |
그래픽제작실습중급 (Graphic writing practice intermediate level) |
콘텐츠 제작에 사용되는 다양한 그래픽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업그레이드한다. 그래픽 제작에 필요한 중급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콘텐츠 그래픽을 직접 제작해 본다. |
디지털스토리텔링 (Digital Storytelling) |
스토리텔링은 Story와 Telling의 합성어이다. 본 교과에서는 스토리를 어떻게 찾아내고 어떻게 분석하며 유형화하고 새로운 콘텐츠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 |
디지털스토리텔링실습 (Digital Storytelling Practice) |
스토리텔링 관련 교과목에서 익힌 내용을 전북지역 중심의 콘텐츠 산업 실 사례에 적용하여 스토리텔링 관련 직무 역량을 향상시키고 스토리텔링이 갖는 가치와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. |
문화콘텐츠서비스러닝 (Culture content Service-learning) |
수업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지역사회의 봉사활동에 연계하여 학습력을 높이는 교과목으로 지역 내에서 개발된 문화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해 본다. |
지역혁신과콘텐츠(PBL) (Regional Innovation and Content (PBL)) |
전북 전주지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콘텐츠 분야에 대한 산업적 개념을 학습하고 출판, 미디어콘텐츠 등과 같은 분야별 콘텐츠 산업을 조사 분석하여 지역 혁신과 새로운 시장 개척 능력을 기른다. |
지역혁신서비스러닝 (Local innovation service learning) |
지역의 문화정책은 기본적으로 국가의 문화정책에 기반하여 움직이고 있으나, 지역 발전 전략으로서 지역의 고유한 문화정책 개발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. 본 교과에서는 지역 문화정책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적 지역문화정책을 제시해 본다. |
콘텐츠트렌드분석 (Content Trend Analysis) |
온라인상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콘텐츠 및 관련 정보를 취득하여 사회 수요에 맞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안할 수 있도록 콘텐츠 트렌드 조사 분석 능력을 함양한다. |
한국의근대음악유산 (Korea's Modern Music Heritage Sites) |
한국의 근대사회 이래 대중음악 및 대중음악산업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근대문화유산의 맥락에서 근현대 대중음악이 어떤 가치와 콘텐츠로서의 잠재력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여 최신 콘텐츠산업에서의 전망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